사주가 역학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8글자가 단순히 하나하나 의미로써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글자의 위치와 관계에 따라 서로 막대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이 22글자는 각각 서로 강한 관계성을 지니고 있어
어떤 글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자기 자신의 속성들도 휙휙 바뀌고는 하는데요.
서로 에너지가 잘 맞아 합(合)을 하거나
서로 에너지가 맞지 않을 때, 즉 극(克)을 할 때 이러한 작용이 일어나곤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합(合)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주의 글자들끼리 영향을 주는 경우
일반적으로 같은 선상에 있는 글자끼리만 영향을 주게 됩니다.
즉, 천간은 천간끼리
지지는 지지끼리만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사주의 합은
천간합, 지지합 이렇게 구분히 됩니다.
천간 합은, 서로 합이 되는 짝이 각각 정해져 있고
각각 하나씩이랑만 짝을 이루기 때문에 종류가 얼마 없지만
지지의 합은 케이스가 워낙 많고 다양해서
방합, 육합, 삼합, 암합 등으로 나누어 부릅니다.
오늘은 글이 너무 길어질 것 같으니,
천간합에 대해서만 간단하게 알아봅시다.
천간합이란 무엇인가?
말 그대로 천간끼리의 기운이 잘 맞아 합을 이룬 것으로
이렇게 합을 이루게 되면 일반적으로 기존에 있던 기운은 버리고 새로운 기운을 띄게 됩니다.
Q 그렇다면 어떤 천간끼리 합을 이루는 건가요?
천간 합은 부부의 합이라고도 하며,
오행중 서로 극하는 오행들이 음양이 다를 때, 우리는 천간 합을 이룬다고 합니다.
Q 서로 극하는 오행들이 음양이 다를 경우 서로 합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남자사주에서는 자신이 극하는 기운이 아내,
여자사주에서는 자신을 극하는 기운이 남편인것과 마찬가지로
사주에서는 서로 반대되는 기운이더라도 음양이 다르면 그 글자를 배우자의 기운으로 봅니다.
이는 천간끼리도 그대로 적용이 되어
음천간의 합하는 글자를 찾고 싶으면
그 글자를 극하는 기운을 가진 양천간을
양천간의 합을 찾고 싶으면
그 글자가 극하는 기운을 가진 음천간을 찾으면
서로의 합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이것을 간단히 표로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갑기합 | 을경합 | 무계합 | 병신합 | 정임합 |
이렇게 천간합을 표로 정리해서 보면
서로 극하는 글자가 음양이 다를 경우 서로 합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때에, 양간이 음간을 극을 함)
그리고 여기서 짚고나가야할 중요한 점이 한가지 더 있습니다.
바로 합을 하는 경우, 글자들의 성질이 바뀐다는 것인데요.
갑기합 => 토
을경합 => 금
병신합 => 수
정임합 => 목
무계합 => 화
이런 식으로 두 천간 글자의 기운이 크게 바뀌며, 본질을 잃어버리고 새로운 기운으로 작용을 하게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지지가 합을 하는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주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의 합(合)에 대해서 알아보자 (4) (0) | 2022.10.05 |
---|---|
사주의 합(合)에 대해서 알아보자 (3) (0) | 2022.10.03 |
사주의 합(合)에 대해서 알아보자 (2) (0) | 2022.10.01 |
사주에서 대운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계산하는 걸까? (0) | 2022.09.28 |
이것을 알면 사주를 보는 눈이 달라진다 : 계절론 (0) | 2022.09.27 |